군 당국은 지난 2014년 사이버사령부 심리전단의 댓글 공작을 수사하면서 김관진 국방부 장관이나 청와대가 연루된 단서는 전혀 없었다고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YTN 취재 결과 김관진 장관과 청와대에 활동 내용을 보고했다는 진술을 확보하고도 이를 철저히 은폐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장아영 기자!<br /><br />먼저 지난 2014년에 있었던 국군사이버사령부의 댓글 공작 수사와 관련된 내용부터 짚어주시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2014년 국군사이버사령부 530 심리전단이 국내 정치와 관련된 댓글 공작을 벌였다는 의혹이 당시 야권과 일부 언론을 통해 제기됐습니다.<br /><br />심리전단이 북한 대응 활동에서 벗어나 사실상 국내 정치에 관련된 댓글 공작을 광범위하게 벌였다는 것인데요,<br /><br />문제가 커지자 당시 국방부 검찰단은 사이버사령부 등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를 벌여 일부 혐의를 사실로 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연제욱, 옥도경 전 사이버사령관 등 4명을 불구속 상태에서 재판에 넘겼습니다.<br /><br />다시 수사 결과 발표 직접 들어보시죠.<br /><br />[유명상 대령 / 국방부 검찰단장 (2014년 11월) : 전 사이버사령관 육군소장 연 모 씨, 육군 준장 옥 모 씨, 심리전단장 3급 박 모 씨를 정치 관여로, 심리전단 4급 정 모 씨를 정치 관여 및 허위 공문서 작성 등으로 각각 불구속 기소하였습니다.]<br /><br /><br />그런데 당시 조사에서는 김관진 국방부 장관이나 청와대에 사이버사령부의 댓글 공작 내용이 보고된 사실을 밝혀내지 못했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수사 당시에도 과연 사이버사령부 단독으로 국내 정치와 관련된 댓글 공작을 할 수 있었겠느냐는 의심이 많았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당시 군 검찰은 이런 의혹 제기에 대해 김관진 장관이나 청와대 보고 단서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 수사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YTN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군 검찰의 이런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군 검찰의 조사를 받았던 심리전단 요원들의 진술서를 확보해서 봤더니, 한 심리전단 요원은 매일 매일의 작전 성과를 김관진 국방부 장관에게 보고했고, 청와대 김태효 대외전략비서관에게도 온라인 시스템을 통해 보고했다고 군 검찰에서 진술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또 다른 심리전단 요원도 특정 중요 이슈에 대해서는 김관진 장관까지 결과 보고가 이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92711384394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